대한민국의 문화재를 알기 쉽게 정리한 글입니다.
전국 문화유산(국보, 보물, 사적 등) 리스트 지도는 아래 사이트를 참고해주세요.
http://dogumaster.com/map/heritage
국보 제5호
보은 법주사 쌍사자 석등 (報恩 法住寺 雙獅子 石燈)
<개요>
문화재명 | 보은 법주사 쌍사자 석등 |
종목 | 국보 제 5호 |
시대 | 통일신라시대 |
분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석등 |
수량/면적 | 1기 |
지정(등록)일 | 1962.12.20 |
소재지 | 충북 보은군 속리산면 법주사로 379, 법주사 (사내리) |
소유자(단체) | 법주사 |
관리자(단체) | 법주사 |
<위치>
충북 보은군 속리산 법주사에 세워져 있습니다.
<시기>
사자를 조각한 석조물 가운데 가장 오래 된 석등으로,
통일신라 성덕왕 19년(720) 경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됩니다.
<특징>
높이는 3.3m이며,
불을 밝히는 석등이라, 그을린 자국이 보입니다.
두마리의 사자 부분을 확대한 사진입니다.
아래돌은
8각 형태로 연꽃이 새겨져있습니다.
기둥은
사자 2마리가 마주보고 있는 형상으로,
통일신라시대의 석등에서 찾아보기 힘든 특이한 모습이라고 합니다.
(보통은 8각 기둥을 세웠다고 합니다)
쌍사자를 자세히 보면
머리의 갈기와 다리의 근육까지 보이는게 신기합니다.
윗돌은
불을 밝히는 화사석(火舍石)을 받치는 돌인데,
이 또한 연꽃이 새겨져 있습니다.
석등의 윗부분 사진입니다.
화사석은
8각 형태이며, 4개의 창으로 불빛이 나오게 되어있습니다.
지붕은
처마 끝부분이 살짝 들려있는 형태입니다.
그럼 이제,
법주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법주사 역사>
쌍사자 석등이 세워져 있는 법주사(法住寺)는
신라 진흥왕14년(553)에 의신조사가 창건한 절입니다.
<법주사 유래 및 전설>
전설에 따르면,
신라시대의 의신조사가
인도에서 불경을 가져와 절 지을 터를 찾고 있었는데,
하얀 노새가 날아와 지금의 법주사 터에서 울고 있었다고 합니다.
범상치 않은 기운을 느낀 의신조사는 이곳에 절을 짓고,
인도에서 가져온 불경(=부처)가 머무르는 곳이라는 의미에서
"법주사"라고 하였다고 합니다.
<법주사 문화유산>
속리산 법주사는 사적 제 503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 되어 있습니다.
법주사 내부에는
국보 3점, 보물 10여 점을 보유하고 있으며,
특히 국호 55호로 지정된 팔상전은
우리나라에 하나 밖에 없는 목탑으로 현존하는 탑 중에 가장 높다고 합니다.
또한,
법주사가 위치한 속리산 일원은
명승 제 61호로 지정되어 있고, 천연기념물도 2점 위치하고 있습니다.
(명승, 천연기념물 리스트는 자연명소 지도 에서 확인해보세요!)
이 것으로 대한민국 국보 제 5호
"보은 법주사 쌍사자 석등"에 대한 글을 마무리 하겠습니다.
<문화재 지도>
전국의 국보, 보물, 사적, 명승, 천연기념물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전국 문화재 지도는 아래 사이트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http://dogumaster.com/map/heritage
'역사, 언어, 문화(History, Language, culture) > 문화재 지도(국보, 보물, 사적, 명승, 천연기념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화재 여행] 국보 6호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소개 + 역사 및 유래 (0) | 2021.03.19 |
---|---|
[문화재 여행] 국보 4호 여주 고달사지 승탑: 역사 및 유래 (0) | 2021.03.17 |
[문화재 여행] 국보 3호 서울 북한산 신라 진흥왕 순수비: 역사 및 유래 (0) | 2021.03.16 |
[문화재 여행] 국보 2호 서울 원각사지 십층석탑: 역사 및 유래, 건축 정보 (0) | 2021.03.15 |
[문화재 여행] 국보 1호 서울 숭례문(남대문): 역사, 건축, 과거 사진, 지도 (0) | 2021.03.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