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은 그냥 '할아버지'를 부를 때, '영감님'이라고 많이 합니다만...
우리가 알만한 좀 유명한 영감님으로는...영화 광해에서 도승지로 맹활약하신 류승룡 씨가 있습니다..ㅋㅋㅋ
실제로 광해군에 도승지로 나온 인물은
허난설헌의 동생이며, <홍길동전>의 작가로 알려진 '허균'입니다
그는 광해군이 왕이었던 시절의 '도승지'로 정3품에 해당하는 고위 당상관이었습니다.
*당상관(堂上官)이란 왕과 함께 당(堂) 위에 올라 정사를 논할 수 있는 고위직을 말합니다.
즉, '영감(令監)'님이란 종2품~정3품의 고위 관리를 칭하는 말이었습니다.
영화에서는 이병헌씨가 맨날 '도승지~~ 도승지~~~' 하고 불러서 몰랐지만,
아랫사람들은 모두 '영감님'이라고 부르며 우러러 보았겠지요 ㅋㅋ
조선시대 임직원?의 호칭은 아래와 같았다고 합니다.
※ 조선시대 호칭
1. 왕 : 상감(上監) , 뒤에 '마마'를 붙여서 '상감마마' 라고 함
2. 정2품 이상(영의정, 좌의정, 우의정 등) : 대감(大監), 뒤에 '마님'을 붙여서 '대감마님' 이라고도 함
3. 종2품~정3품(도승지 등) : 영감(令監)
4. 그 이하 : '나으리' 라고 부름
대감은 지금으로 치면 장관, 장관급 정도 될 것 같고,
영감은 차관, 차관급, 기관장 정도가 될 것 같네요^^
이렇게 영감(令監)이란 조선시대 종2품~정3품 사이의 고위직을 칭하는 말로 쓰였으며,
일제강점기에 들어서면서 법관, 고위 공무원을 칭하게 되고,
나중에는 쫌 파워있는 사람들을 뜻하는 말이 되기도 합니다.
지금은 그냥 나이 많으신 분들을 '영감님'으로 퉁쳐서 부르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물론 지금도 군대나 관공서 등에서는 고위직을 표현할 때 '영감님'이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실제로 많이 봤음ㅋㅋ)
재미로 상식으로 알아두세요^^
'역사, 언어, 문화(History, Language, culture) > 역사 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욕의 유래] 쪽바리 / 닛뽄 / 나카무라 ... 뜻 및 어원 (0) | 2015.11.18 |
---|---|
[욕의 유래] 북한 욕 - 종간나 / 간나새끼 / 에미나이 ... 뜻 및 어원 (0) | 2015.11.14 |
[욕의 유래] 화냥년, 호로자식 어원 - '병자호란'은 잘못된 유래? (0) | 2015.11.08 |
[지명 유래] 이태원(梨泰院) 유래 및 어원 - 임진왜란 (0) | 2015.11.04 |
[역사 상식] 우리나라 한국 최초의 세계일주 (0) | 2015.10.31 |
댓글